경제,금융,생활정보

k-패스 대중교통 환급 카드 신청 방법 사용 방법 할인금액 실제후

잘생긴푸우 2025. 3. 11. 20:28

 

최근 교통비 절감과 환경 보호를 동시에 실천할 수 있는 교통카드인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각 카드의 신청 방법, 사용 방법, 비용, 그리고 실제 사용자 후기까지 상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K-패스: 대중교통 환급 카드

K-패스란?

K-패스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도입한 전국 단위의 교통비 환급 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시 일정 비율의 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신청 방법

1.온라인 신청: K-패스 공식 홈페이지나 앱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후 카드 신청을 진행합니다.

 

2.카드 발급: 제휴 카드사(예: 삼성카드, 케이뱅크 등)를 통해 K-패스 전용 카드를 발급받습니다.

 

사용 방법

 

대중교통 이용: K-패스 카드를 사용하여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이용 횟수가 적립됩니다.

 

환급 혜택: 월 최소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이용 시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비율은 일반인 20%, 청년(만 19~34세) 30%, 저소득층 53.3%로 구분됩니다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대중교통 정기권 기후동행카드란?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도입한 대중교통 정기권으로, 일정 기간 동안 지하철,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통패스입니다.

 

신청 방법

모바일 카드: '모바일 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를 발급받습니다. 현재는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아이폰 사용자는 실물 카드를 이용해야 합니다.

 

실물 카드: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전실에서 현금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 후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 등록이 필요합니다.

 

충전: 카드를 구매한 후 지하철역 무인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합니다.

이용: 충전 후 사용 개시일부터 30일간 지하철, 버스, 따릉이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용

카드 발급 비용: 제휴 카드사별로 다를 수 있으며, 일부 카드는 연회비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용 비용: 별도의 이용료는 없으며, 대중교통 이용 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

정기권 가격: 62,000원(따릉이 제외), 65,000원(따릉이 포함)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실물 카드 구매 비용: 3,000원의 카드 구매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며, 이는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사용자 후기

실제 사용자들은 K-패스를 통해 월 평균 1만 8,000원 정도의 교통비를 절약하고 있으며,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청년층과 저소득층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사용자들은 기후동행카드를 통해 교통비 절감과 함께 환경 보호에 동참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다만, 실물 카드의 경우 구매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며, 충전 시 현금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비교

항목 K-패스 기후동행카드
혜택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53.3% 환급 30일간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후 제휴 카드사에서 발급 모바일 앱 또는 지하철 역사에서 구매
사용 범위 전국 대중교통 서울시 대중교통 및 따릉이
비용 카드사별 연회비 존재 가능 62,000원~65,000원 + 실물 카드 구매 시 3,000원
환급/할인율 일반인 20%, 청년 30%, 저소득층 53.3% 해당 없음
사용자 후기 월 평균 1만 8,000원 절약 교통비 절감 및 환경 보호에 기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