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정보

10억 아파트 사면 취득세는 얼마일까?

잘생긴푸우 2021. 8. 11. 21:39


2021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돌파했다. 10억 집을 사면 취득세는 얼마를 내야 되는걸까요?
취득세는 현재 조정대상지역에 있는때랑 비조정대상지역에 있을때랑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2021년 실거래가 10억 아파트 취득세 예상금액>

구분 조정대상지역 비조정대상지역
취득세율 지방교육세율 세액 취득세율 지방교육세율 세액
1주택,
일시적 2주택
3% 0.3% 3300만원 3% 0.3% 3300만원
2주택 8%
(일시적2주택제외)
0.4% 8400만원 3% 0.3% 3300만원
3주택 12% 0.4% 1억2400만원 8% 0.4% 8400만원
법인.4주택 이상 12% 0.4% 1억2400만원 12% 0.4% 1억24,00만원

자난 4월 10억원에 거래된 서울 중구 신당삼성 아파트(107타입)을 기준 사례로 들어 취득세를 계산해봤습니다.

서울 중구 신당삼성 아파트 (107타입)는 조정대상지역에 위치해있다. 따라서 조정대상 지역 내9억원 초과 주택의 취득세율에 해당하는 3%의 세율을 적용 받는다.

10억원 아파트를 취득하게되면 매매가의 3%인 3000만원을 취득세로 납부해야 하고, 여기에 지방교육세 0.3%를 더하면 총 3300만원의 세금을 내게 된다. 일시적 2주택자의 경우에도 세액은 이과 같다.
(일시적 2주택자는 1년안에 집을 팔사람 입니다.)

3주택이상 (다주택자)는 1주택자일경우 3% 에서 다주택자는 12% 오른 세율을 경험하게 됩니다.
조정대상지역 내의 2주택자는 8%, 3주택자는 12%의 취득세율을 적용합니다.

이에 따라 2주택자는 지방교육세를 포함해 총 8400만원(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는 중과세율을 적용해 0.4%의 자방교육세 부과)의 취득세를, 3주택자는 총 1억2400만원의 취득세르 내야한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세금을 올릴수록 집값이 올라가는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르게 생각하면 지금정부에서 집값을 올리려고 일부러 그런건 아닐까? 라는 의문도 들구요.)

같은 실거래가 10억원 주택을 취득하더라도 비조정대상지역의 다주택자들은 취득세 부담이 덜하다. 조정대상지역보다 한채씩의 세율적 여유가 있다고 보면 된다.

같은 금액인 아파트 10억을 비조정대상지역에서 구매할경우 세율부담이 비교적 낮아집니다. 하지만...전국 광역시 대부분 조정대상지역 이기 때문에 정말 이유가 있어서 아직 안오른곳 빼고는 대부분 조정대상지역 입니다.
10억원 아파트를 구매한 2주택자의 경우 3%의 취득세율을, 3주택자라면 8%의 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비조정대상지역 2주택자는 3300만원(지방교육세 0.3%포함), 3주택자는 8,000만원을 내면 됩니다.

4주택자나 법인은 주택수 관계 없이 12%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법인은 한 채만 취득해도 12%의 취득세를 내야 됩니다.

아파트 11억원 이상 종부세대상

취득세 바뀌는 부분 궁금하세요?

양도소득세 면제조건

아파트 공동명의? 단독명의?

반응형